<p></p><br /><br />지난달 29일 경찰에 손가락 일부가 절단됐다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.<br><br>여성이 술에 취해 택시에서 내리면서 문을 닫다가 손을 다친 것으로 추정되는데요. <br> <br>경찰이 2시간을 수색한 끝에 길에 떨어진 손가락을 찾았지만, 봉합 수술은 받지 못했다고 전해집니다. <br> <br>온라인엔 이런 상황에 닥쳤을 때 다양한 대처법 공유되고 있는데 확인해봅니다. <br> <br>건강보험 관련 자료를 보면. 손 부위 절단으로 진료받은 환자. 매년 1만 명이 넘습니다. <br> <br>이 가운데는 10살 미만 어린이도 매년 3백 명 이상이라고 하는데요. <br> <br>손가락이 절단되는 부상을 당했을 때 가장 중요한 건 먼저 출혈 부위 지혈입니다. <br> <br>지혈이 되게 눌러주고, 다친 손을 들어 올리면 도움 되는데요. <br> <br>막상 다친 부위에 지혈제를 뿌렸다간 수술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병원에 갈 때 절단된 부위의 보관 상태도 중요합니다. <br> <br>오염 물질이 묻었다면 생리 식염수 등으로 씻어내면 좋고<br><br>축축할 정도로만 젖은 거즈나 천에 싸서 비닐로 밀봉한 다음 얼음과 물을 넣은 봉지에 넣어야 하는데요. <br> <br>이때 조직이 직접 얼음에 닿으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얼음에 직접 닿는 건 안 됩니다. <br> <br>소주 같은 알코올 성분에 담는 것 역시 금물입니다. <br> <br>접합 수술을 위한 골든타임 안에 빨리 병원에 가는 것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<br> <br>[우상현 박사 / 수부외과 세부전문의 (국내 최초 팔이식 수술 집도의)] <br>"보관만 잘해오시면, 빠르면 좋겠지만 12시간, 24시간 심지어 36시간까지 경과돼도 수술 결과에 큰 다른 점이 없습니다. 다만 손가락보다 더 안쪽, 근육이 많은 부분은 최대한 서둘러서 골든타임을 줄여주는 게 좋습니다. 반드시 (손가락을) 찾아오시는 게 중요합니다." <br> <br>접합 수술이 가능한 병원에 가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119 등에 신고할 때 부상 상황을 상세히 알리는 것도 필수입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한정민, 박소연 디자이너